[피플]제품에 진심인 아임웹 프로덕트 디자이너가 일하는 방법

 제품 꿰뚫어 보는 아임웹 프로덕트 디자이너

 "깊게 고민하고 연구하며 성장할 수 있는 환경"

IT 기업이 하나의 프로덕트를 만들기 위해서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가 필요합니다. 그중 프로덕트의 사용성과 심미성은 물론 고객이 프로덕트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모든 부분을 조화롭게 관장하는 전문가가 있습니다. 바로 프로덕트 디자이너입니다.

아임웹에도 고객이 제품을 불편함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치열하게 고민하는 프로덕트 디자이너들이 있습니다. 누구보다 아임웹 프로덕트를 꿰뚫어 보고, 고객의 입장에서 최적의 사용성을 한 번 더 고민합니다. 이들이 아임웹 프로덕트를 위해 어떻게 일하는지, MP 스쿼드 소속 지향님과 인터그레이션 스쿼드 소속 희연님에게 아임웹 프로덕트 디자이너 이야기를 들어봤습니다.


아임웹 프로덕트 디자이너 희연님과 지향님

아임웹은 목적 조직인 ‘스쿼드’ 단위로 일합니다. 두 분이 속한 스쿼드와 그 안에서 프로덕트 디자이너로서 하는 일을 조금 더 자세히 소개해 주세요.

지향  제가 속한 MP 스쿼드는 아임웹 고객의 D2C 비즈니스를 위한 다양한 마케팅 활동을 지원하는 광고 캠페인 관리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광고 캠페인 관리는 고객이 광고·마케팅에 전문 지식이 없어도 편리하게 광고를 생성 및 분석하고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능이에요. 현재 베타 오픈을 앞두고 있습니다. 프로덕트 디자이너로서는 고객에게 마케팅 데이터를 어려움 없이 직관적으로 보여드릴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고 구현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면, 광고 캠페인을 진행했을 때 쌓이는 성과 데이터를 쉽게 분석할 수 있도록 대시보드와 그래프 비주얼라이징에 신경 썼죠. 

희연  저는 인터그레이션 스쿼드에 속해있습니다. 아임웹은 PG 및 간편결제, 도메인, 알림톡, 소셜 로그인 등을 서드 파티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는데요. 이 부분을 인터그레이션 스쿼드가 담당합니다. 저희 스쿼드가 담당하는 부문에서 VOC가 인입되었다면, 개선 속도가 중요한데요. 이때 디자이너는 속도에 초점을 맞춰 기능 개선을 진행할 경우 고객 사용성에는 문제가 없는지, 더 나은 방식은 없는지 PO, 개발자와 커뮤니케이션하고 균형을 맞춰 디자인에 반영합니다.


스쿼드에서 맡고 있는 업무 외 집중하고 있는 일도 있나요?

지향&희연  현재 디자인 시스템을 구축하는 업무를 병행하고 있습니다. 아임웹은 작년에 큰 성장을 이루면서 규모도 커졌습니다. 이와 함께 업무도 늘어나고 다양해졌죠. 업무에 들어가는 불필요한 과정과 커뮤니케이션을 없애고, 디자인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디자인 시스템을 구축해야겠다 싶었어요. 그렇게 디자인 시스템 TF를 구성했고 다양한 구성원이 모여 진행 중입니다.

💡 스쿼드

아임웹은 하나의 목적을 가진 스쿼드 안에 PO, 프론트·백엔드 개발자, 디자이너 등 다양한 직군이 모여있습니다.


💡 디자인 시스템

원칙, 규격, 다시 사용할 수 있는 UI 패턴과 컴포넌트, 코드를 포괄하는 세트입니다. 다양한 채널에서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일관되게 전달하고 높은 수준의 사용성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아임웹은 스쿼드뿐 아니라 동일한 직군이 모인 ‘디자인팀’도 Cross functional 하게 함께 운영합니다. 자랑하고 싶은 아임웹 디자인팀만의 문화가 있을까요?

희연  스쿼드가 디자이너들이 활동하는 채널이라면 디자인팀은 본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우선, 디자인팀에서 아임웹 디자이너가 작업하는 프로덕트의 전체 그림을 봅니다. 그래야 다양한 기능의 사용성을 균일하게 유지 할 수 있기 때문이에요. 해당 역할은 물론, 각 스쿼드에 속한 디자이너가 이슈를 공유하면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구심점 역할을 합니다.

지향  덧붙여 디자인팀만의 문화라고 한다면 이슈를 공유하고 토론하는 문화가 자리 잡은 팀이에요. 대표적으로 매주 한자리에 모여 위클리, 크리틱, 레트로 시간을 갖습니다. 위클리는 각자 담당하고 있는 프로젝트를 간단히 공유하는 시간으로 월요일 오전에 진행합니다. 크리틱은 담당 프로젝트 공유와 함께 서로 피드백을 주고받는 시간으로 화요일과 목요일에 진행해요. 금요일에 하는 레트로는 업무에서 느끼는 점들을 자유롭게 공유하는 시간이에요. 각자 속한 스쿼드가 다르기 때문에 업무도 다를 수밖에 없는데요. 업무는 물론 업무에서 생기는 이슈, 느끼는 점들을 자유롭게 이야기할 수 있는 팀이에요. 하나의 제품을 좋은 방향으로 만들어 가자는 목표가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 같아요. 아임웹 원칙인 Global one team과 Be open에서 파생된 문화이기도 하죠.


위클리, 크리틱, 레트로 중 가장 선호하는 시간이 있을 것 같아요.

희연  크리틱은 다른 형태로 경험을 해봤는데, 레트로는 아임웹에서 처음 경험해 봤어요. 레트로에서는 반은 업무 이야기, 반은 일상적인 이야기를 나눕니다. 업무에서 생긴 고민, 힘든 점, 느낀 점 등을 나누기도 하고 서로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지, 요즘 관심사는 무엇인지 소소한 이야기도 주고받아요. 주중에 정신없이 달려오다가 금요일 레트로를 통해 주말 모드로 전환하는 느낌도 들어 가장 선호하는 시간입니다.

지향  크리틱을 가장 좋아해요. 피드백을 주고받다 보면 제가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부분과 몰랐던 부분을 구성원의 의견을 통해 아는 경우가 많은데요. 이 과정을 통해 많이 성장하는 것을 느낍니다.


아임웹 디자인 시스템 가이드 일부분

아임웹은 For customer 원칙을 바탕으로 고객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고민하고 실행하는 조직입니다. 이런 아임웹이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과 그 안에서 프로덕트 디자이너의 역할도 궁금합니다.

지향 아임웹은 B2B이자 B2C 서비스이기 때문에 For customer 원칙을 바탕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있어요. 대표적으로 VOC에서 문제 해결 과정이 시작됩니다. 광고 통합 관리 플랫폼 '아임웹 애드' 역시 VOC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제품입니다. 그동안 Sales팀과 CX팀에서 마케팅에 대한 고객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인터뷰와 미팅 등을 진행했는데요. 이제 막 비즈니스를 시작하는 고객부터 한참 성장 중인 고객이 많이 접수한 VOC가 ‘마케팅이 어렵고,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다’는 거였어요. 직접 해보자니 노하우가 없고, 전문 대행사에 맡기기엔 비용이 부담스럽다는 게 대부분의 목소리였습니다. 이 페인 포인트를 해결하기 위해 MP스쿼드를 구성하였고. 초보도 쉽게 마케팅을 할 수 있게, 그중에서도 퍼포먼스 마케팅을 할 수 있도록 2021년 아임웹 애드를 출시 했습니다. 이후 아임웹 애드를 운영하면서 인입된 VOC를 참고해서 고도화된 '전환추적 기능', 여러 매체의 광고 데이터를 한곳에 모아 빠르게 인사이트를 확인할 수 있는 '광고 대시보드' , 자동화된 '데이터 연결' 등의 기능을 더한 것이 출시를 앞둔 광고 캠페인 관리입니다.

디자이너로서는 평소 고객 입장에서 생각하는 것이 중요해요. 비즈니스를 운영하는 고객에게 마케팅은 필수지만, 마케팅 활동 역시 전문 지식이 필요한 영역이에요. 데이터, 용어 등을 이해하기 쉽지 않죠. 전문 지식이 없더라도 고객 입장에서 어떤 프로덕트가 쉽고 편리하게 느껴질까 고민하고 효율적인 UX를 구성하기 위해 노력해요. 서비스 내 어려운 마케팅 용어는 쉽게 풀어내고, 고객이 필요한 기능에 집중하도록 불필요한 요소나 과정을 줄여 필요한 정보만 명료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제품을 디자인하고 있습니다.


이런 아임웹 안에서 프로덕트 디자이너에게는 다양한 역량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그중에서도 중요한 역량을 꼽자면요?

희연  다양한 유스 케이스(Use case)를 고려할 수 있는 역량이 필요합니다. 아임웹은 특히 B2B 고객으로부터 많은 케이스가 발생해요. B2B 고객이 프로덕트를 사용하는 환경이 정말 다양하기 때문인데요. 수많은 사용 환경, 예외 케이스 등을 고려해서 디자인에 반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임웹은 웹빌더와 이커머스 솔루션을 모두 제공하다 보니 유스 케이스가 더욱 많아요. 이런 케이스를 고려해 프로덕트를 디자인하는 것이 중요한데요. 그러다 보니 많은 역량 중에서 케이스를 고려하는 꺾이지 않는 마음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지향  저는 문제 해결 능력을 꼽고 싶습니다. 희연님 말씀처럼 아임웹은 유스 케이스가 다양해요. 다양한 케이스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도 필요합니다. 포트폴리오 제작, 브랜드 강화, 수익 개선, 비즈니스 효율 극대화 등 고객들이 아임웹 서비스를 사용하는 이유가 정말 다양한데요. 문제가 발생했을 때, 해당 고객이 아임웹 서비스를 사용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파악하고 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아임웹에서 근무하면서 배운 점이나 성장에 도움이 되었던 부분이 있다면 공유해 주세요!

희연  아임웹은 프로덕트 디자이너로서 역량을 쌓으며 성장할 수 있는 환경입니다. 예를 들면, 아임웹의 B2B 고객들은 상황에 맞게 기능을 커스터마이징하여 사용합니다. 이로 인해 UI 복잡도가 증가하는데, 유저 입장에서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디자인해야 하죠. 또 쌓이는 데이터를 고려하며 대시보드나 워크스페이스를 구현하는 것도 쉽지 않은 작업이에요. 어떻게 보면 업무가 어렵다고 느낄 수도 있지만, 그만큼 깊게 고민하고 연구함으로써 성장할 수 있는 기회가 많은 곳이기도 해요. 저 역시 아임웹에서 다양한 업무와 유스 케이스를 접하면서 성장하고 있다는 것을 느낍니다.



아임웹 프로덕트 디자이너로 근무하는 것의 장점은 무엇일까요?

희연  최고의 복지는 동료라고 하잖아요. 디자인팀은 ‘최복동’의 모범 답안과 같은 곳입니다. 가장 큰 장점 하나 말씀드리자면, 모두 문제해결형 디자이너들이에요. 공유와 피드백 문화가 기반이 되다 보니, 의견이 필요한 구성원이 생기면 집단지성을 활용해 열정적으로 문제 해결에 도움을 되고자 합니다. 또 디자인팀뿐 아니라 타 팀, 타 스쿼드와의 협업도 잦은데요. 이때 모든 구성원이 더 좋은 결과와 서비스를 위해 협업에 진심이라는 것을 매번 느끼고 있어요.

지향  Just try 문화입니다. 실행하고자 하는 액션에 대한 타당한 근거가 있다면 시도할 수 있어요. 이때 결과가 좋다면 제 의견과 액션이 제품에 반영이 되는 점이 장점이에요. 반대로 결과가 생각만큼 좋지 않더라도 괜찮아요. 어떤 결과든 이를 통해 학습하고 더 나은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는 환경이기 때문이죠.


아임웹은 현재 프로덕트 디자이너 영입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어떤 분들에게 아임웹 프로덕트 디자이너를 추천하나요?

지향  자신의 의견을 망설이지 않고 적극적으로 어필할 수 있는 분, 자기 주도적인 분들에게 추천합니다. 능동적으로 자신이 할 수 있는 일과 하고 싶은 일을 찾아서 보여주고, 신나게 일하고 싶은 분들에게 추천하고 싶어요.

희연  커뮤니케이션이 활발한 사람, 제품을 개선하고자 하는 마인드를 가진 사람입니다. 또 디자인팀은 협업을 통해 많이 성장하고 있는 팀입니다. 적극적으로 협업이 가능하고, 이 협업을 통해 아임웹과 함께 프로덕트 디자이너로 성장하고 싶은 사람이라면 언제나 환영입니다!


아임웹에서 프로덕트 디자이너로 성장하고 싶다면

아임웹 합류하기


by 피플 승아


상호명 (주)아임웹  l  대표이사 : 이수모  l 개인정보책임자 : 박재완
사업자등록번호 : 105-87-83592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2023-서울강남-02377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501 VPLEX
채용문의 : join@imweb.me

이용약관  l  개인정보처리방침
Made by Imweb Corp.